주 고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고왕은 기원전 441년 동주 사왕을 시해하고 즉위한 동주 시대의 왕이다. 왕자 조의 잔당을 두려워하여 도읍을 성주로 옮겼으며, 동생인 왕자 게를 왕성 지역에 봉하여 서주 환공으로 삼았다. 이로 인해 동주는 서주와 동주로 분열되었고, 왕권은 약화되었다. 주 고왕의 통치 기간은 동주 왕실의 권위가 크게 약화된 시기로 평가되며, 전국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위열왕
주 위열왕은 기원전 425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재위한 주나라의 왕으로, 삼가분진을 단행하여 춘추 시대를 마감하고 전국 시대를 시작하게 했다. - 주나라의 왕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주나라의 왕 - 주 혜왕
주 혜왕은 동주 시대 제17대 왕으로, 자퇴의 난으로 쫓겨났다가 복위했으며, 제 환공에게 패자의 지위를 하사하고 후처의 아들을 총애하여 태자의 지위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사람 - 묵자
묵자는 전국 시대의 사상가로, 검소함과 겸애를 강조하며 유교와 대립했고, 전쟁을 반대하며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주의 윤리학을 주창했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사람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주 고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왕조 | 주나라 (동주) |
군주 | 주 고왕 |
칭호 | 왕 |
성 | 희 (姬) |
이름 | 외 (嵬) |
재위 기간 | |
시작 | 기원전 440년 |
종료 | 기원전 426년 |
기간 | 14년 |
즉위 전 | 주 사왕 |
계승 | 주 위열왕 |
생애 | |
사망 | 기원전 426년 |
부친 | 주 정정왕 |
자녀 | 주 위열왕 |
사후 정보 | |
시호 | 고왕 (考王) 또는 고철왕 (考哲王) |
2. 생애
주 고왕은 기원전 441년 사왕을 시해하고 즉위하였으며, 왕자 조의 잔당을 두려워하여 도읍을 성주(成周)로 옮겼다.[1] 기원전 440년에는 동생 왕자 게를 왕성(王城) 지역에 제후로 봉하여 서주 환공이 되게 하였다.[1] 기원전 367년에는 서주 환공의 손자 서주 혜공이 아들 반을 공(鞏) 지역에 제후로 삼아 동주 혜공이라 칭하게 하면서, 동주 왕실은 서주와 동주로 분열되었다.[2] 이처럼 도읍지인 성주 부근에만 지배력이 미치게 되면서 동주의 왕권은 약화되었고, 중국의 전국 시대의 시작을 고왕의 시대로 보는 의견도 있다.[3]
2. 1. 즉위 과정
기원전 441년, 사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즉위하였다.[1] 왕자 조의 잔당을 두려워하여 도읍을 성주(成周)로 옮겼다.[1]2. 2. 서주와 동주 분열
기원전 440년, 주 고왕은 동생인 왕자 게(王子 揭)를 이전의 도읍지였던 왕성(王城) 지역에 제후로 봉하고 왕성에 도읍을 정하게 하니, 그가 서주 환공이다.[1]기원전 367년, 서주 환공의 손자인 서주 혜공은 자신의 소자(少子)인 반(班)을 공(鞏, 현재의 허난성 궁이 시) 지역에 제후로 봉하고 공에 도읍을 정하게 하였다.[2] 반은 서주 혜공의 호를 습용(襲用)하여 그 자신을 동주 혜공이라고 칭했다.[2] 이로써 동주 왕실은 안으로 서주(西周)와 동주(東周)로 갈라졌다.[2]
2. 3. 왕권 약화
기원전 441년, 사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즉위하였다. 왕자 조의 잔당이 두려워서 도읍을 성주(成周)로 옮겼다.기원전 440년, 동생인 왕자 게(王子 揭)를 이전의 도읍지였던 왕성(王城) 지역에 봉하고 제후로 삼았으며, 왕성에 도읍을 정하게 하니, 그가 서주 환공이다.[1]
기원전 367년, 서주 환공의 손자인 서주 혜공이 자신의 소자(少子)인 반(班)을 공(鞏, 현재의 허난성 궁이 시) 지역에 봉하고 제후로 삼았으며, 공에 도읍을 정하게 하였다. 동주 왕실을 받들어 소자 반이 서주 혜공의 호를 습용(襲用)하여 그 자신을 동주 혜공이라고 칭했다. 그때는 전국 시대로 동주 왕실이 안으로 서주(西周)와 동주(東周)로 갈라진 것이다.[2]
이와 같이 도읍지인 성주 부근 밖에 지배가 미치지 않게 된 동주는 왕권의 약화가 표면화되었다. 중국의 전국 시대의 시작을 고왕으로 보는 의견도 존재하고 있다.[3]
3. 가족
- 아들: 주 위열왕 (무공자, 王子午, 기원전 402년 사망), 기원전 425년 ~ 기원전 402년 재위[1]
4. 가계
주 정정왕의 아들이자 주 원왕의 손자이며 주 경왕의 증손자이다.
참조
[1]
서적
Niên biểu lịch sử Trung Quốc
2001
[2]
서적
Zen Baggage: A Pilgrimage to China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